▒ |
목초액의 주 성분은 80 - 90%가 물, 나머지 10 - 20%가 유기화합물로 주성분은 초산이며, 이 때문에
목초액이라고 이라고 한다. 옛날 사람들은 [목초]라고도 불러 왔다.
미량성분을 분석해 보면,산류, 폐놀류, 중성물질류, 칼보닐류.염기성 성분으로 구분되며 그 숫자는 약 200 종류에
이른다.목초액의 성분은 탄화법이나 원목의 종류, 원목의 건조 정도에 따라 다르며 흑탄가마와 백탄가마인가 등에 따라 산의
함유량도 차이를 보인다.
목초액은 효과가 인정되면서도 "어떠한 성분이 어떻게 작용하는
것일까?" 가 미지로 남아 있다는 것이 현실이다.
목초액은 채취할 때의 연기의 종류에 따라 그성분과 성상에 큰 차이를 보인다. 목초액은 280여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중요한 성분은 유기물 중 초산이 약 50% 이상 함유되어 있지만 목초액의 80% 이상이 수분으로 전 용액
중의 초산은 약 3% 정도이며 기타의 유기산과 알콜류, 페놀류, 카보닐 화합물, 중성 성분 그리고 염기성 성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특히 지방, 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탄수화물, 섬유소, 당분,수분, 비타민A, 비타민C, 칼슘,
나트륨,철분, 회분등을 포함한 정제된 목초액을 상온에서 1개월 이상 보관 하였는데도 대장균이나 일반 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정제된 목초액 자체에 균 성장억제 기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보통의 물에서는 상온에서 하루만 보관해도 미생물이
검출된다. 더욱이 정제된 목초액에는 수많은 유기물이 풍부하게 있어 생물 번식에 양호한 영양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번식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더욱 놀랄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